안녕하세요
우리가 강이 되어주자입니다.
1. 지금 내성천변에 일어나는 일을 내성천활동가 지율스님께서 100동안 영상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매일 체크해주는 센스.. 강변 아름드리 왕버들이 잘려나가고 , 은사시나무가 잘려나간 자리엔 비가 조금만 내려도 산사태가 일어나고있습니다. 준설을위한 가물막도 터져나가고 내성천은 점점 거칠어지고 있지만 그래도 내성천은 아름답습니다. www.naeseong.org
2. 리슨투더시티에서 내성천 책자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저번 책보다 여러면으로 내용이 보강되어있습니다만
색이 아주조금 어둡습니다(약간의 실수도..ㅠ) 그래도 이뻐요~~
보급을 위해 책을 원가 2000원에 구매하실수 있습니다. 친구들에게 나눠주세요. 주문은 최소 5권 부터 받고 우송비 2500원을 함께 보내주시면됩니다. (5권: 예 12500원- 최소금액입니다.) ^^다음주 금요일 일괄배송됩니다. (주문: parkeunseon@gmail.com 성함, 주소, 전번 남겨주세요. 국민 036-21-0953-341 박은선 입금후 이메일 보내주세요~) 낱권 구매는 조계사에 있는 ‘모래’ 갤러리, 더북스, 가가린, 더북소사이어티, 이음서적에서 하시면됩니다. (담주 월욜 부터 독립출판사 본격 판매시작합니다.)
이번 한강 연극 ‘모-래’현장에서도 구매가능하십니다.
3. 강을 위해 무엇을 할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강에 대해 이야기하는 실험극을 만들었습니다. 내성천 모래를 한트럭 샀어요. 모래를 잃어 버린 한강에 모래를 돌려주려고 합니다. 많이 와주세요~ 돌아가시는 길에 모래를 조금씩 담아가셔도 되니 작은 병을 가져오세요.
변방연극제 참가작 ‘모-래’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2012
Listen to the City & VIB JELLY – To the Sand
* 세빛둥둥섬 앞 7:15분집결~~
제목 : 모-래 To the sand
일시 : 7월 15일 일요일 7시 22분 (80분 공연)
장소 : 세빛둥둥섬 앞 공터 (지하철 고속터미널 8-1 역에서 도보 15분 거리) http://www.floatingisland.com/
연출 : 리슨투더시티(박은선) + 진동젤리(고헌, 김종우)
영상 : 리슨투더시티(우에타 지로, 김준호)
출연 : 권은영, 김일현, 김정화, 류세이오 류, 박은선, 신승철, 장인섭
음악: 바리케이트 톨게이트
2012.7.15(Sun) 7:22 pm / Hangang Park Jamwon & Banpo Area
Floating Island (Express bus terminal exit 8-1, 15 min by walk)
http://www.floatingisland.com/
Genre : Performance(Composite) Duration : 80 mins Rating : All Tiket : Free
리슨투더시티 www.listentothecity.org
내성천 모래강 www.naeseong.org
변방연극제 Seoul Marginal Theatre Festival http://www.mtfestival.com/
연극문의: @listentothecity 010 4297 8652, 010 9972 3805
비가 와도 공연 합니다.
In case of rain please check the Listen to the City’s website
*이 공연은 무료이고 신청받습니다
여기 이 http://nomadist.org/xe/684986 게시판에 비밀댓글로 트위터 아이디나 이멜 남겨주시면
신청완료이고요 미리 신청해주신분들께는
현장에서 리슨투더시티 4대강 포스터를 드립니다 😉
변방연극제 참여작인 ‘모-래’가 이번주 일요일 7시22분에 세빛둥둥섬에서 처음으로 상연된다.
도시, 예술집단 리슨투더시티와 연극과 신체 사이를 넘나들며 사유하는 진동젤리는 우리나라에 남은 마지막 모래강 내성천에서 모래를 한 트럭 가져와 세빛둥둥섬 앞의 공터에 부으며, 40년만에 모래를 만나는 콘크리트 한강변에서 우리를 둘러싼 가치는 무엇인가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
강과 모래? 그것은 기본적인 단어이지만 우리의 삶과 너무 동떨어진 무엇이지 않은가? 한강, 금강, 낙동강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모래백사장이 끝없이 펼쳐진 모래강이었지만 . 40년이 지난 지금 전국에 남아있는자연하천은 내성천 하나 밖에 없다. 그 많던 강의 모래는 우리가 밟고있는 보도블럭에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로 장소를 옮겼다. 실험극 ‘모-래’는 우리사회는 어떻게 이런 길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공연은 세빛둥둥섬 투어로 시작해 토론의 요소를 지닌 극 그리고 퍼포먼스로 이어진다.
공연 취지
모래는 이주한다. 강에서 강으로, 강에서 바다로. 그리고 강에서 아스팔트로, 강에서 아파트로. 현대 모래의 이주는 돌아갈 고향을 상실한 디아스포라다. 이주민들로 구성된 도시, 디아스포라의 성전인 도시. 도시는 자신의 스펙터클 속에 이주민들을 감춘다. 모래는 차갑고 매끈한 시멘트 속에 묻혀 고층 아파트가 된다. 모래는 감춰진다. 하지만 그것은 언제나 여기 이곳에 존재했다. 따라서 도시인인 우리는 언제나 우리를 구성하고 있으나 보이지 않는 존재들과 마주하고 있는 셈이다.
유령존재들. 있으나 보이지 않는 존재들. 보이나 보지 않는 존재들. 유령존재들을 사유한다는 것은 잃어버린 고향, 그러나 언젠가 도래할 시온에 대한 기다림이다.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잊었던 감각들의 복원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고향에 대한 감각이 남아있기나 할까?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한강에서 그것을 찾을 수 있을까?
공연 구성
1부 구성 : 7시 22분 세빛둥둥섬 앞 집결
두 명의 투어 가이드가 상반된 시각에서 세빛둥둥섬을 소개합니다. (가이드 김정화 박은선) 투어 이후 가이드들이 관객들을 세빛둥둥섬 앞 공터로 이끕니다.
2부 구성: 7시 42분- 8:22분
다섯 명의 사람들(사회자 수유너머R 죠스, 미술가 박은선, 배우 장인섭, 건축평론가 김일현, 인문학자 신승철)이 모여 모래와 강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생태적 가치, 도시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갑니다.
3부 구성
한강변에 내성천(현재 4대강 공사중인,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은 자연하천)에서 퍼온 모래를 붓고 퍼포먼스를 합니다.
단체 소개
리슨투더시티는 예술가의 새로운 역할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리슨투더시티는 예술 외부적 조건들을 조금 더 자유롭게 사유하기 위해 조직된 창작/비평 공동체이자 예술가들이 좀 더 자발적으로 사유하고 표현하기 위해 고안된 하나의 장치이다. 2009년부터 강에 가기 시작하면서 부터 도시가 얼마나 잔인한가를 깨닫게 되었다. 도시를 유지하기위해 너무 많은 것들을 희생하고 있다. 도시에 대한 리서치를 하면서 강 이야기를 하기 위한 독립예술공간 스페이스 모래를 운영하고 있고, 독립도시건축 잡지 어반드로잉스를 발간하고 있다.
진동젤리는 사람과 사람, 장르와 장르 사이의 경계를 지우고, 현대인의 도시적 삶에 균열을 내기 위한 작업들을 시도하고 있다. 동네 주차장을 돌아다니며 시도 읽고 연극도 하고 노래도 부르며 텅 빈 주차장을 채우려 노력하는 한편, 요즘은 도시 구석구석에 틀어박혀있는 카페들을 돌아다니며 작지만 의미 있는 흔적들을 남기고 있다.
<To the Sand> shows a performance as a memorial for sand of rivers, and it is a movement to return the sand to its rivers. This performance takes place at the concrete bank on the Han River.
The Han River had been a beautiful river with its sandy beach until 1970s. The water of the Nakdong River with its lovely white sandy beach is stagnating like that of the
Han River now due to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nd the Naesong Stream has come on the verge of disappearing because of the Young Ju Dam.
This documentary performance perceives the Naeseong Stream from the viewpoint of a laborer who works for dredging its bottom sand. He delivers the sand from the Naeseong
Stream to the Han River. We meet the sand at the Han River for the first time in 40 years, but that is not from the Han River itself but from the Nakdong River.
Ironically, the sand of the Naeseong Stream cannot be let flow into the Naesong Stream at this moment. It may never return to where it was. Audience can touch and feel the sand and take some of it in small bottles in hopes of bringing it back to the Stream someday.
The screen projects people swimming in the Han River in 1960s to 1970s, followed by its development process panorama. In the late part of the film some scenes from construction spots of the recent Four Major Rivers Project are mixed and crossed. Those sites are the same as 40 years ago: there live some mandarin ducks on the waterside of the Naesong Stream and also inhabit black-head storks, which are so rare that their population in the whole world is only a thousand. The images of the shallow and clear water and the sand running through
toes move on with switching camera focus to a forklift, which is raking the sand out on one corner, with trees being cut. The tow-motor delivers the sand into the back of a truck,
and the truck goes into the brink of the Han River and pours it out in the river. Then, the video turns into a news report.
Listen to the City
Listen to the City is searching for a new role of artists. It is a community organized to enable more liberal thoughts about out-of-art conditions as well as a device designed for the artists to think and express more spontaneously. They have realized how brutal a city is and how many things are sacrificed to maintain a city. They are doing
their research on city and operating the independent art space Morae(referring to Sand in Korean)
Vibrating Jelly
Vibrating Jelly is a comprehensive artwork group oriented to thoughts and bodies as elastic as a bunch of jelly. Vibrating Jelly shares its context with the 60′s art movement of Fluxus.
Like those artists who attempted to fuse their lives with artworks, Vibrating Jelly also tries to take a grasp and an action on the point of life innovation.
Vibrating Jelly is not restrained to certain genres, but through assorted art activities it will be a jelly carrying social discourse(vibrations) in its varied performances,
media acts, writings and other forms of art.